Tip & Tech2016. 12. 27. 00:38

현재 환경 유지하며 윈도 10 프로 에디션을 홈에디션으로 변경하기

How to change Windows 10 Pro edition to Home edition with current environment.


1. "MediaCreationTool.exe" 를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고 실행합니다. 

Download a "MediaCreationTool.exe" from below link.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


https://www.microsoft.com/en-us/software-download/windows10



2. "관련 통지 및 사용 조건"에 동의 합니다.

Agree the "License terms".



3.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Select "Create installation media for another PC"



4. 이 PC에 권장 옵션 사용을 체크 해제한 후, 에디션은 Windows 10 Home, 아키텍처는 모두를 선택합니다.

Uncheck the checkbox and then select "Windows 10 Home" for the Edition and "Both" for Architecture.



5. ISO 파일을 선택합니다.

Select ISO file.



6. 적당한 폴더에 iso 파일을 저장합니다.

Save an iso file to proper folder.



7. 작업이 완료되면 "완료" 버튼을 누릅니다.

Click the "Done" button when process is done.




8. "regedit" 실행을 통해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합니다.

그리고나서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하위의

EditionID를 "Core"로 ProductName을 "Windows 10 Home"으로 변경합니다.


Launch the registry editor by executing "regedit".

And then change the value of child of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

EditionID to "Core" and ProductName to "Windows 10 Home".





9. 생성된 iso 파일을 클릭한 후, "setup.exe"를 실행합니다.

"나중에"를 선택 합니다.


Click generated iso file and lanuch "setup.exe".

Select "Later".



10. "관련 통지 및 사용 조건"에 동의 합니다.

Agree the "License terms".



11. Windows 10 Home 설치가 표시된 것을 확인 한 후, "설치" 버튼을 누릅니다.

After confirming the installation of Windows 10 Home, click "Install" button.


12. 설치 및 재부팅 후, 윈도 10 홈 에디션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fter installation and rebooting, you can find that Windows is changed to Home Edition.

Posted by virgo81

댓글을 달아 주세요

Tip & Tech2012. 10. 31. 01:12

당신의 데이터는 안전합니까? 어디에 보관 하십니까?


수년, 수십 년 보관하던 데이터가 순간의 실수로 사라졌을 때를 경험해보신 분은 

백업의 중요성에 대해서 말씀드리지 않아도 잘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백업 저장소를 선택하는 기준은 뭐가 있을까요? 다음을 만족하는 저장소가 있을까요?


    - 저렴한 비용 (Low cost): GB 당 월 0.01 USD

    - 보안 (Secure): SSL을 통한 안전한 데이터 전송, AES 256을 사용한 데이터 암호화 

    - 내구성(Durable): 연평균 99.999999999%의 내구성

    - 유연성(Flexible): 페타바이트까지의 확장

    - 단순성(Simple): 수년 또는 수십 년 장기간 보존되는 데이터를 매우 간단하게 유지


IaaS 의 대표 주자 amazon 은 최근 위 5가지 사항을 제공하는 스토리지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1. amazon 에 가입합니다. (http://aws.amazon.com/ko) 

    상세한 가입 절차는 링크된 블로그의 포스트(http://dont.pe.kr/tt/382)를 참조하세요.


2. 상단에 내 계정/콘솔 -> AWS Management Console 을 클릭하여 AWS Management Console에 진입합니다.


 

3. 중간 쯤에 Storage & Content Delivery 하위의 Glacier 를 선택합니다.



4. 여기까지 진행하셨다면 일단 간단한 준비는 완료 되셨습니다. 

    amazon API 를 통해서 접근하기는 번거로우니, Glacier client를 사용하겠습니다.

    제가 선택한 client는 Fast Glacier 입니다. http://fastglacier.com



5. Account Name과 Access Key ID 그리고 Secret Access Key 를 넣으라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 Account Name은 다른 계정과 구분하기 위해 쓰이는 이름으로 임의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 Access Key ID와 Secret Access Key는 IAM (ID 및 접근 관리) 에서 발급 받아야합니다.


6. AWS Management Console 에서 IAM 에 진입합니다.


 

7. Users 탭을 선택하신 후, Create New Users 를 선택합니다.

    저는 GLACIER-ACCESS 로 정했습니다. 

    Generate an access key for each User 도 반드시 선택합니다.



8. 짜잔! 생성 되었습니다. 

    Key의 추후 사용을 위해 Download Credentials 를 이용해서 PC에 저장해놓도록 합니다.



9. 8에서 생성된 Key를 4의 Access Key ID 와 Secret Access Key를 입력하고 

    Add new account를 눌러도 에러 투성이 입니다. 접근 권한이 없습니다.

    IAM 계정에 대해 접근 권한을 부여해야 합니다.



    방금 생성한 계정의 Summary 탭으로 이동해서 저 숫자를 기록해놓습니다.


10. 이제 Permissions 탭으로 이동해서 Attach User Policy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나서 Custom Policy를 선택합니다.


11. Policy Document에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그리고나서 Apply Policy를 눌러 저장합니다.




{

    "Statement":[{

        "Effect":"Allow",

        "Resource":[

            "arn:aws:glacier:지역:사용자:vaults/*"

        ],

        "Action":[

            "glacier:*"

        ]

    }]

}


지역은 다음 5개 값이 가능합니다.

  us-east-1 : 미국 동부 북 버지니아 데이터 센터

  us-west-1 : 미국 서부 북 캘리포니아 데이터 센터

  us-west-2 : 미국 서부 오레곤 데이터 센터

  eu-west-1 : 유럽 아일랜드 데이터 센터

  ap-northeast-1 : 일본 동경 데이터 센터


사용자는 9에서 기록해 놓은 숫자를 입력합니다.


12. 다시 Fast glacier 를 실행하여 11에서 권한 부여한 지역을 선택합니다.

    Vault (저장소) 를 만들고, 폴더 또는 파일을 업로드 합니다.




※ FAQ: http://aws.amazon.com/ko/glacier/faqs/


※ 백업용 서비스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해서는 4시간 이상 대기 필요



당신의 데이터는 이제 안전합니다.

Posted by virgo81

댓글을 달아 주세요

Tip & Tech2010. 10. 18. 00:23
PowerPoint 2007 Multiple Launcher / Multiple instances of PowerPoint 2007

※ 많은 분들의 요청으로 64 bit OS에서도 사용하실 수 있도록 수정하였습니다.
※ Windows 7 64 bit & MS Office 2007에서 테스트 되었습니다.

듀얼 모니터가 대세인 시대!

파워포인트로 작업할 때 하나의 창으로만 떠서 불편합니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PPTLauncher를 만들어봤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PPTLauncher를 이용하면 위와 같이 여러 개의 파워포인트를 띄울 수 있습니다.


이제 듀얼 모니터에서 좀 더 편하게 파워포인트 작업을 해보세요.!!!^^


다운로드 받기





※ 이 프로그램을 실행하시려면 .net framework 2.0이 필요합니다.

.net framework 2.0 다운로드 받기

※ Windows 7 64 bits & MS Office 2007에서 테스트 되었습니다.
※ PPTLauncher 로 실행된 PowerPoint 상의 바탕화면 및 내 문서는 DefaultUser의 바탕화면 및 내 문서이오니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수현아빠님의 요청으로 2007이 있더라도 2003이 실행되는 파일 첨부합니다.





PPT Power Point 2007 Office Multiple파워 포인트 다중 실행 Launcher PPTLauncher Multiple instances Dual Monitor 듀얼 모니터 Program Programming

Posted by virgo81

댓글을 달아 주세요

  1. 이전 댓글 더보기

Tip & Tech2010. 3. 20. 00:52




안드로이드에서 Base64 인코딩 디코딩 하기

Base64 Encoding / Decoding in Android

 

안드로이드 OS는 이미 apache codec 1.3의 Base64를 가지고 있다.

Android OS already has the Base64 of apache codec 1.3.

 

 

 

public static byte[] encodeBase64(byte [] binaryData) {
    byte [] buf = null;
       
    try {
        Class Base64 = Class.forName("org.apache.commons.codec.binary.Base64");
        Class[] parameterTypes = new Class[] { byte[].class }; 
        Method encodeBase64 = Base64.getMethod("encodeBase64", parameterTypes);
        buf = (byte[])encodeBase64.invoke(Base64, binaryData);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return buf;
}

 

 

public static byte[] decodeBase64(byte [] base64Data) {
    byte [] buf = null;
       
    try {
        Class Base64 = Class.forName("org.apache.commons.codec.binary.Base64");
        Class[] parameterTypes = new Class[] { byte[].class }; 
        Method decodeBase64 = Base64.getMethod("decodeBase64", parameterTypes);
        buf = (byte[])decodeBase64.invoke(Base64, base64Data);
    } catch (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return buf;
}

 

안드로이드 android base64 encoding decoding apache codec

Posted by virgo81

댓글을 달아 주세요

Tip & Tech2010. 3. 8. 01:24

KT를 사용하는 분들은 mp3파일을 듣기 위해

 

도시락을 통해 mp3를 kmp로 바꿔야합니다.

 

하지만, 도시락을 이용하여 변환하는  것은

 

너무 번거롭습니다.

 

물론 mp3tokmp라는 프로그램이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Windows 7 64bit와 같은 운영체제에서 자주 프로그램 오류가 납니다.

 

하지만 와이프는 프로그램 오류 없이 변환하길 원합니다.(?)

 

이러한 요구 사항들을 만족하기 위해 No Dosirak이 탄생했습니다.

 

 No Dosirak 을 이용하시면 빠르고 간편하게 mp3 파일을 kmp 파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먼저 첨부 되어 있는 No Dosirak과 SMPEncoder.dll를 다운로드 받아 같은 폴더에 저장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net framework 2.0 이상의 버전이 필요합니다.)

 

 

SMPEncoder.dll 다운로드 받기 #1 #2  (SMPEncoder.dll 은 저작권 문제를 피하기 위해 외부 링크로 대체합니다.)

 

 

그리고나서 NoDosirak.exe 를 실행하여 변환을 수행하면 됩니다.

 

 

변환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파일 추가 또는 폴더 추가 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mp3 파일 또는 mp3 파일이 저장된 폴더를 선택합니다.

 

2. 사용자 전화번호를 입력합니다.

 

3. 대상 폴더를 지정합니다. 외장 메모리의 mp3 폴더를 지정하시면 편리합니다.

 

4. 선택 변환 또는 전체 변환 버튼을 통해 변환 작업을 수행합니다.

 

 

참고 자료

http://plus7.postech.ac.kr/~override/blog/?p=68

 

 

kmp 변환 mp3 변환 도시락 kt kt 도시락 kt kmp 휴대전화 휴대폰 mp3 폰 mp3tokmp dosirak

 

Posted by virgo81

댓글을 달아 주세요

Tip & Tech2010. 2. 4. 23:09

 

신뢰되지 않은 루트 인증서를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에 설치하는 방법

 

How to install a untrusted root certificate

to android emulator

 

 

1. 작업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WORKDIR)

2. 루트 인증서(MYROOT.CER)를 WORKDIR 로 옮깁니다.

3. 첨부 파일을 WORKDIR로 다운로드 받습니다.

 

 

 

 

 

4. http://www.bouncycastle.org/latest_releases.html에서 Bouncy Castle Crypto API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예) http://www.bouncycastle.org/download/bcprov-jdk16-145.jar

5. 다운로드 받은 jar 파일을 "$JAVA_HOME\jre\lib\ext" 디렉토리로 옮깁니다.
 예) C:\Program Files (x86)\Java\jdk1.6.0_18\jre\lib\ext

6. -partition-size 옵션과 함께 에뮬레이터를 실행합니다.
    usage: emulator -partition-size [size] -avd [target-avd]
    ex: emulator -partition-size 256 -avd my_android2.0

7. 부팅 과정을 기다립니다.

8. 명령 프롬프트에서 다음 명령들을 실행합니다.

     adb pull /system/etc/security/cacerts.bks cacerts_org.bks
 
     copy cacerts_org.bks cacerts.bks

     keytool -keystore cacerts.bks -storetype BKS -provider org.bouncycastle.jce.provider.BouncyCastleProvider -storepass changeit -importcert -trustcacerts -alias CACERT -file MYROOT.CER
         Trust this certificate? [no]:  y


    adb shell mount -o remount,rw -t yaffs2 /dev/block/mtdblock0 /system
 
    adb push cacerts.bks /system/etc/security/cacerts.bks


hosts 파일도 수정하기 원한다면.
#-- 시작

    adb pull /system/etc/hosts hosts_org

    copy hosts_org hosts
#-- 끝

hosts 파일을 수정합니다.

hosts 파일도 수정하기 원한다면.
#-- 시작
    adb push hosts /system/etc/hosts
#-- 끝

    adb push mkfs.yaffs2.arm /data/data/temp/mkfs.yaffs2

    adb shell chmod 777 /data/data/temp/mkfs.yaffs2

    mkfs.yaffs2 /system /data/data/temp/system.img

    adb pull /data/data/temp/system.img system.img

    adb shell mount -o remount,ro -t yaffs2 /dev/block/mtdblock0 /system

9. "당신의 androidSDK 홈\platforms\target-version\images" (IMAGEHOME)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예) E:\dev\android-sdk-windows\platforms\android-2.0\images

10. system.img 파일을 백업합니다
    ex) system.img를 system.img.org로 이름 변경합니다.

11. WORKDIR\system.img 를 IMAGEHOME 으로 이동합니다.

12. 에뮬레이터를 종료합니다.

13. 에뮬레이터를 새로 시작합니다.

14. 안드로이드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당신의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15. 보안 관련 메시지가 안나타나면, 성공입니다.

 

 

1. Make a directory for working(WORKDIR).

2. Move your root certificate(MYROOT.CER) to WORKDIR.

3. Download the attached file to WORKDIR.

4. Download the Bouncy Castle Crypto API library from this site (http://www.bouncycastle.org/latest_releases.html).
 ex) http://www.bouncycastle.org/download/bcprov-jdk16-145.jar

 

5. Move the crypto API jar to "$JAVA_HOME\jre\lib\ext" directory.
    ex) C:\Program Files (x86)\Java\jdk1.6.0_18\jre\lib\ext

6. Run the emulator with -partition-size option.
    usage: emulator -partition-size [size] -avd [target-avd]
    ex: emulator -partition-size 256 -avd my_android2.0

7. Wait booting processing.

8. Run these commands in command prompt.

    adb pull /system/etc/security/cacerts.bks cacerts_org.bks
 
    copy cacerts_org.bks cacerts.bks

    keytool -keystore cacerts.bks -storetype BKS -provider org.bouncycastle.jce.provider.BouncyCastleProvider -storepass changeit -importcert -trustcacerts -alias CACERT -file MYROOT.CER
         Trust this certificate? [no]:  y


    adb shell mount -o remount,rw -t yaffs2 /dev/block/mtdblock0 /system
 
    adb push cacerts.bks /system/etc/security/cacerts.bks


If you want to modify the hosts file.
#-- start

    adb pull /system/etc/hosts hosts_org

    copy hosts_org hosts
#-- end

Modify the hosts file.

If you want to modify the hosts file.
#-- start
    adb push hosts /system/etc/hosts
#-- end

    adb push mkfs.yaffs2.arm /data/data/temp/mkfs.yaffs2

    adb shell chmod 777 /data/data/temp/mkfs.yaffs2

    mkfs.yaffs2 /system /data/data/temp/system.img

    adb pull /data/data/temp/system.img system.img

    adb shell mount -o remount,ro -t yaffs2 /dev/block/mtdblock0 /system

9. Go to "your android SDK home\platforms\target-version\images" (IMAGEHOME).
    ex) E:\dev\android-sdk-windows\platforms\android-2.0\images

10. Back up your system.img
    ex) Rename system.img to system.img.org

11. Move WORKDIR\system.img to IMAGEHOME

12. Terminate the emulator.

13. Relaunch the emulator.

14. Connect your site by android browser.

15. If there are no messages related security, success.

 

Posted by virgo81

댓글을 달아 주세요

Tip & Tech2010. 1. 22. 23:46

최근 Windows 7의 등장과 XP-모드, x86 CPU

 

가상화 지원으로 인하여

 

가상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가상화는 매우 많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 되는 곳은

 

여러 운영체제를 한 시스템에 격리하여 사용하는

 

시스템 가상화(플래폼 가상화)를 의미합니다.

 

 

먼저 몇 가지 가상화 용어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가상 머신 모니터(Virtual Machine Monitor =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가상 머신의 추상 개념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가상 머신을 실행하고, 실제 하드웨어로부터 격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소프트웨어로 VMware, Virtual Box, Xen, KVM 등이 있습니다.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프로그램을 물리적인 머신처럼 실행할 수 있는 머신의 소프트웨어적 구현입니다.

 

전 가상화(Full virtualization)

소프트웨어를 수정 없이 가상 머신에서 실제 머신처럼 실행 가능합니다.
보통 전통적인 가상화에서 제공하며 x86의 경우 인텔의 VT AMD AMD-V 확장을 통해 제공합니다.
Windows 7
의 가상화 기능과 KVM 등이 전 가상화를 지원합니다.

 

반 가상화(Paravirtualization)

가상 머신에서 실행을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의 수정이 필요합니다.
가상화 확장 이전의 x86에서 사용되었으며
반 가상화를 사용하는 가장 유명한 가상 머신 모니터로는 Xen이 있습니다.

 

 

용어를 몇 가지 살펴보니 가상화를 간단하게 이렇게도 말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가상 머신 모니터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가상 머신을 만들어서 실제 머신에서처럼

 

가상 머신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상화다.

 

 

그러면 왜 이렇게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 할까요?

 

여러 가지 목적이 있겠지만 대표적인 몇 가지를 이야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여러 장비에 분산되어 있는 서버를 고성능 한 장비에 합칠 때
2.
한 컴퓨터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싶지만, 보안이나 기타 이유로 여러 운영체제가 필요할 때
3.
여러 운영체제에서 테스트가 필요할 때
4.
구형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할 때 (Windows 7 XP 모드의 주 목적입니다)
5.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이 유연하게 자원을 사용하고 싶을 때

 

등등 많은 이유로 가상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VMware Virtual Box등으로 가상화를 사용했던 거 같은데 뭐가 문제였길래

 

인텔이나 AMD가 가상화 지원 CPU를 출시하고 있을까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Popek Goldberg 1974년 논문

 

"가상화 가능한 3세대 아키텍처들을 위한 형식상의 요구사항"에서 VMM으로 고려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위한 3가지 필수 특징을 발표하였습니다.

 

 

3가지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효율(Efficiency)

    모든 위험하지 않은 명령들은 VMM의 간섭 없이 하드웨어로 직접 수행되어야 합니다.
2. 자원 통제(Resource control)

    VMM은 가상화된 자원에 대해 완벽한 통제를 해야 합니다.
3.
동등(Equivalence)

    VMM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같은 머신에서 직접 실행되었을 때와 동일하게 수행되어야 합니다.

 

전통적인 가상화는 트랩-에뮬레이트를 통해 위 특성을 만족하는 가상화를 제공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까지 하드웨어의 지원 부족으로 x86 아키텍처는 전통적인 트랩-에뮬레이트 가상화를

 

허용하지 않았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인텔 AMD가 전통적인 가상화를 지원하기 위해 아키텍처 확장을 소개했습니다.

 

그것이 인텔의 VT AMD의 AMD-V입니다.

 

 

그러면 x86 아키텍처가 가상화를 위한 어떠한 하드웨어 지원이 부족했을까요?

 

대표적인 문제가 특권 상태 접근 시에 폴트를 발생시키지 않는 문제입니다.

 

이전에는 x86이 많이 사용되는 PC 여러 운영체제를 동시에 사용하고자 하는 요구가 거의 없었습니다.

 

x86에서는 2비트(0-3) 특권 레벨(Privilege Level) 기반의 보호를 제공하는데

 

특권 레벨0은 가장 권한이 높은 소프트웨어(운영체제)가 사용하고

 

특권 레벨 3은 일반 응용프로그램이 사용합니다.

 

하지만 가상화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면서 가상화를 시도하게 되었습니다.

 

가상화를 위해 VMM이 도입되어야 하는데, 자원통제를 위하여 VMM은 가장 높은 특권 레벨(0)에서

 

실행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아뿔사! 이미 그 자리는 운영체제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하나요? 굴러온 돌(VMM)이 박힌 돌(OS)를 빼내야 합니다.

 

그래서 운영체제한테 특권 레벨 1이나 3으로 가라고 했습니다.

 

특권 레벨 0에 있던 운영체제가 특권 레벨 1 또는 3으로 갔는데 이게 잘 실행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지만

 

바램은 바램일 뿐입니다.

 

 

운영체제는 여러 특권 명령을 실행하게 됩니다. 특권 명령은 특권 레벨 0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입니다.

 

특권 명령을 다른 특권 레벨에서 사용하면 트랩이 발생하게 되고 이 트랩을 VMM이 처리를 해주면

 

말끔하게 문제가 해결될 거 같습니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x86의 일부 특권 명령은 다른 특권 레벨에서 실행하여도 트랩을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트랩을 발생 시켜야 VMM이 처리를 할 텐데 난감한 일이죠.

 

그 외에 링 앨리어싱, 주소 공간 축소, 게스트 시스템 호출의 부정적 효과, 인터럽트 가상화,

 

숨은 상태의 접근, 링 축소, 특권 자원에 대한 빈번한 접근 등의 문제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하드웨어가 확장을 통해 지원 하기 전에는 소프트웨어로 해결했습니다.

 

VMware, Virtual Box와 같은 x86용 VMM들은 게스트 커널 코드의 바이너리 변환을 대신 사용했습니다.

 

또한 Xen과 같은 경우는 운영체제 코드 레벨 1에서 실행되도록 수정하고 반 가상화를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가상화를 사용할 수 있지만, 코드를 변경하거나 VMM이 계속 개입해야 하는

 

문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하드웨어로 해결하기 위해 VT 또는 AMD-v

 

VMX root VMX non-root의 추가를 통해 아키텍처를 확장 했습니다.

 

 

양 모드 모두 0-3까지의 특권 레벨을 가지고 있습니다.

 

VMM VMX root 모드에서 실행되고, 게스트 운영체제는 VMX non-root 모드에서 실행됩니다.

 

 상태는 vm entry를 통해 VMX root에서 VMX non-root 모드로 전환되고

 

또한 vm exit를 통해 VMX non-root 모드에서 VMX root 로 전환됩니다.

 

VMX non-root 모드에서 운영체제는 기존처럼 특권 레벨 0에서 실행됩니다.

 

하지만 기존과 다르게 많은 명령어들과 이벤트들이 vm exit를 호출합니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 운영체제는 기존의 특권 레벨에서 실행되기에 특권 레벨 변화로 인한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 되었습니다.

 

그리고 또한 특권 명령을 VMM이 처리할 수 있게 적절히 트랩도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 이제 말끔하게 가상화를 위한 문제들이 해결된 거 같습니다.

 

그럼 성능도 항상 하드웨어 지원을 통한 가상화가 좋은 성능을 보일 것 같습니다.

 

 

하드웨어 지원 가상화 vs. 소프트웨어 가상화

 

하지만 하드웨어에서 지원해준다고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VMX root <-> VMX non root 변환 시 지연이 생각보다 길기 때문입니다.

 

2.66GHz Core 2 Duo 프로세서에서 vm entry 명령을 실행하는데 무려 937 CPU 사이클이 필요하고

 

vm exit 1186 CPU 사이클이 필요합니다.

 

많은 명령어들과 이벤트들이 vm exit를 호출하고 다시 vm entry를 통해 게스트 운영체제로 돌아오기에

 

보통 오버헤드가 아닙니다.

 

VMware 사에서 발표한 논문에 실험 결과를 참고해보면 어느 한쪽이 좋다고 쉽게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하드웨어 개선을 통해 점점 상태 전환 시 필요 사이클은 줄고 있고

 

하드웨어 지원 가상화는 점점 더 큰 매력을 가지게 되고 있습니다.

 

 

 

가상화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해보았는데, 가상화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참조 자료

 

Intel® Virtualization Technology: Hardware support for efficient processor virtualization

G Neiger, A Santoni, F Leung, D Rodgers, R Uhlig - Intel Technology Journal, 2006

 

A comparison of software and hardware techniques for x86 virtualization

K Adams, O Agesen - ASPLOS, 2006

 

Formal requirements for virtualizable third generation architectures

GJ Popek, RP Goldberg - Communications of the ACM, 1974

 

Virtualization and etc. - Wikipedia

 

 

Posted by virgo81

댓글을 달아 주세요

Tip & Tech2009. 12. 2. 22:54

한국어 멀티미디어(오디오)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박물관들

The museums, availble in Korean multimedia guide service

 

 

 

 

 

 

 

 

 

 

 

영국 박물관 (대영 박물관, The British Museum)

/ 런던(London)

/ http://www.britishmuseum.org

 

 

Available in English, Korean, French, German, Italian, Spanish, Arabic, Russian, Japanese and Mandarin.
영어, 한국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아라비아어, 러시아어, 일본어, 중국어.

 

 

루브르 박물관 (Le musée du Louvre, the Louvre Museum)

/ 파리(Paris)

/ http://www.louvre.fr

 

 

Available in English, French, German, Italian, Japanese, Korean, Spanish and French sign language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한국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수화

 

 

에르미타시 미술관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Эрмита́ж, State Hermitage Museum)

/ 상트페테르부르크(Санкт-Петербург, Saint Petersburg)

/ http://www.hermitagemuseum.org

 

 

Russian, English, German, French, Italian, Spanish and Korean.

러시아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한국어

 

 

예전에 유럽 여행할 때 방문한 영국박물관과 루브르박물관은

 

한국어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아서 아쉬웠는데,

 

현재는 한국어 멀티미디어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해당 서비스는 모두 대한항공(003490)의 후원으로 제공되고 있다.

 

다음 기회에 방문할 때는 작품들을 더 자세히 볼 수 있을거 같다.

 

근데 한국어 투어 가이드들에게 타격이 있지 않을까?

 

 

 

 

003490 Korean guide Le musée du Louvre LONDON Paris State Hermitage Museum The british museum the Louvre Museum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Эрмита́ж 대영 박물관 대한항공 런던 루브르 박물관 멀티미디어 가이드 박물관 에르미타시 미술관 에르미타주 미술관 에르미타쥐 미술관 여행 영국 박물관 오디오 가이드 파리 한국어 가이드

 

Posted by virgo81

댓글을 달아 주세요

Tip & Tech2009. 6. 20. 01:23



마이크로소프트의 Windows Live SkyDrive 가
25GB의 대용량을 제공하면서
개인 자료 백업을 위한 공간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만
웹 인터페이스로 써야해서 불편함이 많습니다.


그러나, Gladinet Cloud Desktop 을 이용하면 GMail Drive 처럼
탐색기에서 바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먼저 Gladinet Cloud Desktop 스타터 버전을 받을 수 있는
http://www.gladinet.com/p/download_starter.htm 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나서 32bit 윈도를 쓰시는 분은 32bit 버전을,
64bit 윈도를 쓰시는 분은 64bit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설치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Next를 누릅니다.


라이센스 동의 창입니다. I Agree를 선택하고 Next를 누릅니다.


바탕화면 단축아이콘, 빠른 실행 단축아이콘, 웹 클라이언트 서비스 시작, 방화벽에 대한 설정입니다. 
원하시는 항목을 체크한 후, Next를 누릅니다. (저는 바탕화면, 빠른 실행 단축아이콘을 제외했습니다.)


설치 경로를 지정하시고, Next를 누릅니다.


Next를 누르면 설치가 시작됩니다.


설치가 진행됩니다.


Close를 누르면,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처음 실행되면 "한번만 실행되는 초기 설정" 창이 나옵니다.
I just want to use free starter edition (무료 스타터 에디션 사용을 원합니다.)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Gladinet 을 위한 드라이브 문자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저는 S:를 선택했습니다.)


Gladinet 클라우드 데스크탑은 로컬 파일과 온라인 스토리지 서비스 사이의 캐시를 관리합니다.
Cache 위치를 정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저는 R:\Gladinet\Cache 로 정했습니다.)


Gladinet 프로파일은 로컬 파일에 온라인 자격 증명(계정 정보)를 저장합니다.
암호화를 활성화하면 프로파일 암호와 윈도 자격증명을 사용하여 온라인 자격 증명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프로파일 암호화를 설정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저는 활성화하지 않았습니다.)


자동 업데이트를 설정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이제 SkyDrive를 마운트 할 차례입니다.
Mount Disk Storage or Web Storage As Virtual Directory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웹 스토리지를 가상 디렉터리로 마운트)를 선택합니다.


Storage Provider (스토리지 공급자)는 Windows Live SkyDrive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Create New Safe Card (새 안전 카드를 생성합니다.)를 선택하고, Windows Live의 계정 정보를 입력한 후,
다음을 누릅니다.


마침을 누르면, 마운트 작업이 종료되면서 가상 디렉토리가 표시됩니다.


마운트하는 중간에 SkyDrive 플러그인 설치를 위한 라이센스 동의 창이 나타납니다. Yes를 눌러줍니다.


다시 아까의 창이 나타나면, Don't Show This Screen Next Time (다음에는 이 화면을 보여주지 않습니다.)를 선택하고,
Close를 누릅니다.


탐색기를 이용해서 S:\Windows Live SkyDrive 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제 SkyDrive를 다른 폴더처럼 이용할 수 있습니다.!!!



SkyDrive 스카이드라이브 스카이 드라이브 Gladinet 글래디넷 Cloud Desktop 클라우드 데스크탑 Microsoft 마이크로소프트 Windows Live 윈도 라이브 탐색기 Explorer 마운트 Mount


 

 

Posted by virgo81

댓글을 달아 주세요

Tip & Tech2009. 5. 10. 00:39

윈도에 기본적으로 있는 디스크 조각 모음 프로그램을

별로라고 느끼는 사람들은 서드 파티에서 제공하는

디스크 조각 모음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오늘 소개할 프로그램은

오픈소스 진영에서 만들어서 꾸준히 업데이트 하고 있는

UltraDefrag v3.0 입니다.



최근 2.0에서 3.0으로 업데이트가 되었는데, 기존에 비해 훌륭한 성능을 보입니다.

홈페이지에 써 놓기를 새 버전인 3.0에는 다음과 같은 새로운 기능을 포함했다합니다.

1. 조각 모음 알고리즘은 보다 효율적으로 완전하게 다시 작성되었습니다.
2. 빈 공간 최적화 알고리즘은 보다 효율적으로 완전하게 다시 작성되었습니다.
3. 수 많은 중요한 버그가 수정되었습니다.
4. 콘솔과 네이티브 프로그램은 더욱 빠릅니다. 분석을 원하지 않는 파일과 폴더는 프로그램의 필터를 설정하세요.

새로운 기능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http://ultradefrag.sourceforge.net)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UltraDefrag는 다음 플랫폼의 운영체제를 지원합니다.

    
    
     


기본 Download 버튼은 x86 32bit 용 운영체제를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AMD x86과 Intel x64는 x86 64bit 용 운영체제를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사실 두 플랫폼은 호환 플랫폼이기 때문에 두 링크는 같은 파일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Itanium 64bit 용 운영체제를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Itanium 64bit 용 운영체제를 사용하시는 분은 거의 없으실테니,

32bit 운영체제를 쓰시는 분은 기본 Download 버튼을 선택하시면 되고,

64bit 운영체제를 쓰시는 분은 AMD x64나 Intel x64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운로드 받으신 후, 실행을 하면 설치 과정이 진행됩니다.

설치 과정은 어렵지 않습니다.


Next를 누릅니다.


I Agree를 누릅니다.


구성 요소를 선택합니다.

Shortcuts를 선택 안하시면 시작 메뉴에 안만들어지니 꼭 선택해주세요.


이번 버전 부터 한글을 지원합니다. Korean을 선택해주세요.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Vista를 사용하시는 분은 하단의 ★ Vista 사용 시 참조 사항을 확인하세요.

시작 메뉴를 통해 UltraDefrag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분석을 누르시면, 현재 단편화 상태를 보실 수 있습니다.

분석이나 조각모음, 정렬을 하실 때 백신의 실시간 감시가 켜져 있으면 매우 느리니,

실시간 감시 기능을 잠시 꺼두시는 것도 좋습니다.


조각모음은 버튼이 나타내는 그대로 디스크 조각 모음을 수행합니다.

정렬은 모든 파일을 파티션의 시작 부분으로 옮기고 조각모음을 수행합니다.

단, FAT 파일 시스템에서는 작동하지 않습니다.

단편화내역은 분석을 마친 볼륨에 대해서 어떤 파일이 얼마나 단편화 되었는지 보여줍니다.

설정은 UltraDefrag의 여러 옵션을 조정할 수 있는데, 고급 사용자만 조정하시길 추천합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http://ultradefrag.sourceforge.net)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UltraDefrag가 3.0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알고리즘 개선으로

조각모음이나 정렬 기능이 한층 강화되었습니다.

윈도 조각 모음을 답답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은 이번 기회에

UltraDefrag v3.0으로 바꿔보세요.




★ Vista 사용 시 참고 사항

Vista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 절차가 필요합니다.

1. UAC 사용을 중지 합니다.
2. 드라이버 서명 검증 기능을 끕니다.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시작 시 F8을 눌러서 Disable driver signature verification 메뉴로 부팅합니다. 이 방법은 매 부팅시 선택해야합니다.
2) ReadyDriver Plus 프로그램을 설치 합니다. 자동으로 F8 키를 눌러줍니다.
3) ultradfg.sys를 서명하기 위해 Driver Signature Enforcement Overrider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1), 2)는 번거로우므로 3)을 이용합니다.

http://www.ngohq.com/home.php?page=dseo 에 접속해서  

Driver Signature Enforcement Overrider 1.3b을 받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Next를 누릅니다.

Yes를 눌러 동의 합니다.


Sign a System File을 선택하신 후, Next를 누릅니다.


C:\Windows\System32\Drivers\Ultradfg.sys 를 적으신 후, OK를 누릅니다.


이제 서명이 되었습니다. 확인을 누르고 재부팅을 합니다.


Exit를 선택한 후, Next를 눌러서 프로그램을 종료한 다음에 재부팅을 합니다.



3. 실행할 때 단축 아이콘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UltraDefrag, 디스크 조각 모음, 조각 모음, Defrag, Defragmentation, Ultra Defrag
Posted by virgo81

댓글을 달아 주세요